바쁜 도심을 떠나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하며 가족 간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체험마을은 부모님과 아이들 모두에게 만족스런 여행지다.
아이들에게는 현장학습의 기회이자 부모님에게는 고향과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해 ‘재미’ 와 ‘배움’의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와 낙농체험도 즐기고, 갯벌에서 뛰노는 이색 체험 속으로.
옛 선비처럼 서당 체험을 하는 모습
전통문화체험 경북 영주 선비촌
“아빠? 옛날 선비는 어떻게 살았어요?”
우리 고유의 사상과 옛 선비들의 문화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선비촌.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 경북 영주 소수서원 바로 인접한 곳에 조성돼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했다.
체험프로그램 체험 문화마실(당일 체험)
아침에 짜온 신선한 우유와 휘핑크림을 넣고 딸기, 초코, 바닐라 시럽 등을 첨가한 다음, 얼음과 소금을 볼 바깥쪽에 넣은 후 힘껏 흔들어 주기만 하면 먹음직스런 아이스크림이 완성된다.
고소한 맛이 일품인 치즈 만들기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푹 빠져드는 색다른 체험이다.
영주 선비촌(입장료 3000원, 소수서원까지 관람 가능)은 영주의 유서 깊은 한옥을 재현한 ‘선비 체험 마을’이다.
접하기 힘든 전통혼례 체험뿐 아니라 강학당을 비롯해 두암고택, 해우당고택 등 와가와 초가 모두에서 전통문화 체험을 할 수 있다.
나무공예, 한지공예, 사군자 그리기 등을 가르치는 ‘체험 선생님’은 동네 어르신들이다.
두암고택은 영원군수, 해미현감 등을 역임한 김우익(1571-1639) 선생이 세운 가옥으로 안동장씨 고택과 함께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가구를 배치해 눈길을 끄는 곳으로 선비의 모습과 자녀들을 교육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출했다.
접하기 힘든 전통혼례 체험뿐 아니라 강학당을 비롯해 두암고택, 해우당고택 등 와가와 초가 모두에서 전통문화 체험을 할 수 있다.
나무공예, 한지공예, 사군자 그리기 등을 가르치는 ‘체험 선생님’은 동네 어르신들이다.
두암고택은 영원군수, 해미현감 등을 역임한 김우익(1571-1639) 선생이 세운 가옥으로 안동장씨 고택과 함께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고급스럽고 화려한 가구를 배치해 눈길을 끄는 곳으로 선비의 모습과 자녀들을 교육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출했다.
해우당고택은 고종 16년(1876) 의금부 도사를 지낸 해우당 김낙풍(1825-1900)선생이 1875년 건립한 것이다.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한시를 읊던 선비의 목소리가 들릴 듯한 분위기의 고택으로서 선비의 기개를 느낄 수 있다.
넓은 대청 공간이 돋보이며, 여느 가옥들과 달리 안채와 사랑채가 직선형으로 배치된 점이 특이하다.
선비촌 한옥들은 밤이면 숙박 장소로 사용돼 가족단위의 여행이라면 숙박을 계획해도 좋다.카랑카랑한 목소리로 한시를 읊던 선비의 목소리가 들릴 듯한 분위기의 고택으로서 선비의 기개를 느낄 수 있다.
넓은 대청 공간이 돋보이며, 여느 가옥들과 달리 안채와 사랑채가 직선형으로 배치된 점이 특이하다.
전통예절을 배우는 어린이들
체험프로그램 체험 문화마실(당일 체험)
시간 | 프로그램 |
10:00 ~ 10:30 | 입촌 및 선비촌 소개 |
10:30 ~ 11:20 | 순흥의 역사이야기(금성대군과 단종) |
11:30 ~ 12:20 | 과거로의 여행(전통놀이문화) |
12:30 ~ 13:30 | 점심식사 |
13:30 ~ 14:20 | 일일 서당교육 |
14:30 ~ 15:00 | 전통문화체험 |
체험비용 1인당 2만5000원(부가세별도)
전통문화체험 한지, 매듭, 압화, 짚풀공예, 천연염색, 인삼한과 만들기, 가훈 만들기 중 선택. 상기 프로그램은 단체의 성격 및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볼거리
소수서원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임금이 현판을 하사했다는 의미)이다. 선현의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 학문을 배우고 논하는 강학당, 학생들이 기숙하는 재(齋)가 기본시설이다. 선비촌 입장권으로 소수서원 관람이 가능하다.
부석사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국보 5점, 보물 4점, 도 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 무량수전 앞에 위치한 누각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경관이 으뜸이다. 선비촌에서 자동차로 약 25분 소요.
부석사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국보 5점, 보물 4점, 도 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 무량수전 앞에 위치한 누각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경관이 으뜸이다. 선비촌에서 자동차로 약 25분 소요.
즐길거리
풍기온천 소백산 풍기 온천의 물은 유황, 불소, 중탄산 등의 우리 몸에 좋은 물질이 용해돼 있어 관절염, 신경통,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경북 영주시 창락리 453번지
054) 639-6911~2
풍기인삼시장 풍기역 근처에 위치. 이곳에서 파는 풍기 인삼은 다른 지역보다 약 20~30% 저렴하다.
풍기인삼시장 풍기역 근처에 위치. 이곳에서 파는 풍기 인삼은 다른 지역보다 약 20~30% 저렴하다.
가는길
자가용 중앙고속도로 풍기 나들목.
대중교통 서울 청량리역에서 오전 7시~오후 9시, 약 2시간 간격으로 기차가 출발하며 3시간30분 정도 걸린다. 선비촌, 부석사 등을 둘러보려면 영주역보단 풍기역에서 내리는 게 편하다.
대중교통 서울 청량리역에서 오전 7시~오후 9시, 약 2시간 간격으로 기차가 출발하며 3시간30분 정도 걸린다. 선비촌, 부석사 등을 둘러보려면 영주역보단 풍기역에서 내리는 게 편하다.
주소 경북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357번지
문의 054)638-6444
www.sunbichon.net젖 짜기 체험
낙농체험 경기 용인 청계목장
젖소 우유 짜고 치즈 만드는 ‘밀크스쿨’
귀여운 송아지에게 우유도 먹이고, 입에 살살 녹는 쫀득쫀득한 치즈도 직접 만들어 보자.
청계목장에서는 송아지가 태어나고 자라서 우유를 생산하는 전 과정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경기도 용인의 청계목장은 직접 심고 가꾼 꽃과 나무, 야생화가 있는 공원과 같이 조성된 대규모 목장이다.
2009년 경기도와 용인시의 밀크스쿨사업대상자 및 2010년 낙농체험관광사업자로 선정됐다.
2011년에는 우수체험공간으로 지정돼 다양한 낙농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방문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젖소 우유 짜고 치즈 만드는 ‘밀크스쿨’
귀여운 송아지에게 우유도 먹이고, 입에 살살 녹는 쫀득쫀득한 치즈도 직접 만들어 보자.
청계목장에서는 송아지가 태어나고 자라서 우유를 생산하는 전 과정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경기도 용인의 청계목장은 직접 심고 가꾼 꽃과 나무, 야생화가 있는 공원과 같이 조성된 대규모 목장이다.
2009년 경기도와 용인시의 밀크스쿨사업대상자 및 2010년 낙농체험관광사업자로 선정됐다.
2011년에는 우수체험공간으로 지정돼 다양한 낙농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방문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기본 프로그램은 어미 소 젖 짜기 체험부터 어린 송아지에게 우유주기, 트랙터 타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이다.
갓 짜낸 신선한 우유를 먹는 송아지들을 보면 어느새 웃음꽃이 가득해진다.
트랙터에 열차를 결합시킨 목장열차를 타고 달리면 넓은 초원의 시원한 바람까지 느낄 수 있다.
아이스크림 만들기도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는 프로그램.갓 짜낸 신선한 우유를 먹는 송아지들을 보면 어느새 웃음꽃이 가득해진다.
트랙터에 열차를 결합시킨 목장열차를 타고 달리면 넓은 초원의 시원한 바람까지 느낄 수 있다.
아침에 짜온 신선한 우유와 휘핑크림을 넣고 딸기, 초코, 바닐라 시럽 등을 첨가한 다음, 얼음과 소금을 볼 바깥쪽에 넣은 후 힘껏 흔들어 주기만 하면 먹음직스런 아이스크림이 완성된다.
고소한 맛이 일품인 치즈 만들기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푹 빠져드는 색다른 체험이다.
목장의 잔디밭
체험프로그램
운영 일일 1회 예약제로 운영 중(주중 400명, 주말 120명 정원)
체험비용 기본 체험료 1만4000원(우유 먹이기, 젖 짜기, 건초 주기, 트랙터 타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주중 단체만 선택 가능하다. 치즈 만들기 체험을 추가하면 2만4000원이며, 주말 가족체험, 주중 단체, 주말 단체로 신청할 수 있다.
볼거리
한국민속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107 번지, 031) 288-0000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을 재현하고 각종 생활기구·농경기구·각종 공예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
경기도 내 추천 목장
농도원 목장 용인시 원삼면 사암리 031) 334-3901 www.nongdo.co.kr
모산목장 파주시 탄현면 축현2리
031)946-8026 www.mosanfarm.com
가는길
갯벌체험 전북 고창 하전마을
자가용 영동고속도로 양지IC로 나와 BA비스타 골프장 가는 길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279-2 청계목장
문의 031)322-3266
www.cheonggyefarm.com갯벌체험 전북 고창 하전마을
바다 생물 ‘꼬물꼬물’ 숨 쉬는 갯벌에서 뛰놀다
넓은 서해안 갯벌 중에서도 고창갯벌은 우리나라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조개도 캐고 마음껏 뛰고 뒹굴며 신나게 놀 수 있는 하전마을 갯벌학습 체험장으로 고고씽!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아름다운 어촌 100개소로 선정된 하전마을.
광활한 갯벌이 펼쳐져 있고, 연간 400톤의 바지락이 나오는 전국 최대 바지락 생산지다.
광활한 갯벌이 펼쳐져 있고, 연간 400톤의 바지락이 나오는 전국 최대 바지락 생산지다.
갯벌택시라 불리는 경운기를 타고 약 700m가량을 달리면, 드넓은 하전 갯벌학습 체험장에서 바지락 캐기, 망둥어 잡기, 갯벌스포츠 등을 즐길 수 있다.
아이들은 갯벌 위에서 살아 숨 쉬는 바다 생물들과 어느새 친구가 되고, 바다의 촉감, 바다의 생명을 온 몸으로 느낀다.
발이 푹푹 빠지는 갯벌에서 뒹굴며 진흙 범벅이 되어도 바구니 한 가득 담긴 조개를 보면 뿌듯함까지 생긴다.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갯벌체험 후 씻을 수 있는 샤워장도 마련돼 있고, 체험장 내부에는 식당, 컴퓨터실(PC실), 매점 등의 시설도 있다.
아이들은 갯벌 위에서 살아 숨 쉬는 바다 생물들과 어느새 친구가 되고, 바다의 촉감, 바다의 생명을 온 몸으로 느낀다.
발이 푹푹 빠지는 갯벌에서 뒹굴며 진흙 범벅이 되어도 바구니 한 가득 담긴 조개를 보면 뿌듯함까지 생긴다.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갯벌체험 후 씻을 수 있는 샤워장도 마련돼 있고, 체험장 내부에는 식당, 컴퓨터실(PC실), 매점 등의 시설도 있다.
갯벌체험을 가기 전에는 반드시 사전문의를 해서 물 때 시간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계절과 날짜에 따라 조금씩 물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장시간 갯벌에 있다보면 여름철 뜨거운 햇빛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선크림과 모자를 준비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도 잊지 말자.
체험프로그램
계절과 날짜에 따라 조금씩 물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장시간 갯벌에 있다보면 여름철 뜨거운 햇빛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선크림과 모자를 준비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도 잊지 말자.
갯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밤게류. 등껍질이 둥글게 생겼고 볼록하게 나온 모양으로 다른 게들과 구분이 쉽다.
체험프로그램
체험비용 어른 1만원, 어린이 6000원
갯벌에 대한 사전교육 및 갯벌이야기, 갯벌체험에 필요한 준비물지급(장화, 갈퀴), 바지락 캐기 체험(어른 1.5kg, 어린이 1kg), 갯벌택시타기 등
볼거리
하전마을 전경
볼거리
진채선 생가터 전북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 522
진채선은 고창 출신으로 19세기에 활동했던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판소리 명창이었다. 신재효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여성이면서도 웅장한 성음을 내고 기량도 대단하였다고 전한다.
미당 시 문학관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231, 063)560-2760
미당서정주(1915~2000)는 20세기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생전에 15권의 시집을 출간했으며 약 70년의 창작 활동기간 동안 1000여편의 시들을 발표했다.
선운산도립공원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392-5, 063)560-2712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는 명승지로서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문화재로는 금동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 선운사 대웅전 등이 있고, 동백나무숲, 장사송, 송악 등이 대표적인 천연기념물이다.
먹을거리
바지락 요리 국내 최대 바지락 생산지에서 바지락 칼국수, 바지락 전골, 바지락 무침, 바지락 죽 등을 맛볼 수 있다. 9월엔 전어, 대하구이도 일품.
장어 풍천장어 셀프 구이 전문점이 마을에 있고, 장어구이와 잘 어울리는 복분자주도 인기다.
가는길
자가용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선운산 IC를 지나 선운산 가는 길
대중교통 서울 강남터미널→고창 (07:00~19:00/1일 16회/3시간 30분)
주소 전북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709-1
문의 063)564-8831 hajeon.invil.org
기획 Story Magazine 진행 김주애 기자 자료 선비촌, 청계목장, 하전 갯벌학습 체험장
'라이프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여행] 영화 속 주인공이 되는 꿈의 나라! (0) | 2011.08.27 |
---|---|
제주도 올레길 10코스 – 송악산에서 걷기 (날씨만 좋았어도) (1) | 2011.08.24 |
제주도에서 여가와 문화를! 미술관, 레저스포츠 소개! (0) | 2011.08.21 |
제주의 지붕, 한라산 등반! (0) | 2011.08.18 |
[중산간도로] 하늘과 바다가 사랑한 섬 '제주도' 여섯 번째 이야기 (0) | 201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