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보험상식

[보험 상식] 보험나이, 만나이를 알아야 제대로 보상받을 수 있다! (보험나이계산)

 


 

 

 

보험 가입을 할 때 자신의 나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이때 자신의 보험나이가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약 가입 시 이를 잘못 입력하게 된다면 추후에 보상받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이번 보상 상식에서는 보험나이와 만 나이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stevepb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보험나이

 

보험 나이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면 먼저 자신이 태어난 날에서 6개월을 기준으로 그 이전이면 0세, 그 이후이면 1세로 계산하여 시작하는 것입니다.

 

1991년 8월 22일 생을 예로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2015년 5월 현재는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만 23세입니다.

이때, 보험 나이는 태어난 달에 6개월을 더한 2015년 2월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보험 나이는 24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잘 이해가 안가시나요? 그러면 계산기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쉬운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단계 : 먼저 보험에 가입하는 연월을 입력합니다!

 


 

2단계 : 여기서 자신이 태어난 연월을 빼줍니다.


 

3단계 : 그러면 이와 같이 4자리 숫자가 나오게 되는데요, 앞의 두 자리는 만 나이, 뒤에 두 자리는 만 나이에서 +1을 해야 할지 만 나이를 그대로 써야 할지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와 같은 케이스는 현재 달(5월)에 태어난 달(8월)이므로 뒤에 두 자릿수가 상당히 크게 나왔는데요. 결과적으로, 앞자리 23에다가 1을 더하시면 보험나이가 됩니다. (뒷자리 '07' 이상에 해당)

 

 

그렇다면 뒤에 두 자릿수가 00에서 06이 나온다면 어떻게 될까요? 먼저 00에서 05가 나오신 경우에는 앞에 두 자리가 바로 보험나이가 되겠습니다. 만약 뒤에 두 자릿수가 06이 나오셨다는 분은 해당일자까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해당일자를 포함하여 6개월이 넘어서면 +1세, 아니면 그대로 만 나이를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edar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어떠신가요? 처음에 설명을 들으실 때는 어려우셨겠지만 이렇게 한번 이해하시고 나면 더 이상 보험나이도 어렵지 않습니다.

보험나이를 다루면서 만 나이도 말씀드렸는데요. 나이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네이버 뉴스 영역 캡쳐 화면

 

 

최근 보험 관련 뉴스 목록에서 특약 가입 시 만 나이에 유의하라는 기사가 많이 나왔습니다. 동차 보험 같은 경우는 특약이 나이별로 세세하게 나누어져 있는데 이를 평소에 우리가 쓰는 나이로 기록했다가는 보상을 못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쓰는 나이와 만 나이, 보험나이를 구별하여 보험 가입 시 신경쓸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 보험 나이와 만 나이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