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폐세포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 생기는 원발성 폐암과 대장암, 신장암, 간암 등 타 장기로부터 전이되어 발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폐암은 암세포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하게 되는데, 비소세포폐암은 세포의 크기가 작지 않은 경우로, 조기진단과 수술이 비교적 쉬워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소세포폐암은 세포의 크기가 작은 경우로, 비소세포폐암과는 달리 수술 보다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우선으로 하며, 수술은 초기인 경우 시행합니다.
폐암의 약 85%는 흡연에 의한 것으로 흡연을 하는 사람은 흡연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폐암의 발생 위험이 15~80배까지 증가하며, 담배를 피우는 양이 많을수록, 흡연을 일찍 시작할수록, 흡연기간이 길수록 그 위험성은 증가합니다. 간접흡연 또한 직접흡연과 마찬가지로 폐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외 석면, 비소, 크롬, 니켈, 방사선 등 위험물질에의 노출, 유전적인 요인 등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폐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증상이 나타날 때쯤이면 이미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기침, 객혈, 흉통, 호흡곤란,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피로감, 연하곤란, 쉰 목소리, 어깨통증, 팔 안쪽 부위의 통증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폐암이 뼈에 전이된 경우 뼈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골절이 생길 수 있으며, 뇌로 전이된 경우 두통, 구역질, 간질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폐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력청취 및 신체검진, 혈액검사, X-ray, 가래 암세포 검사, 기관지내시경검사, 세침호흡검사 등을 시행하며, 전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부 CT, PET, 뇌 CT 또는 MRI, 뼈스캔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폐암은 암의 진행 정도, 환자의 전신상태, 개개인의 치료 선호도 등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지며,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요법,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있습니다. 비소세포폐암은 비교적 서서히 진행하므로 조기발견시 수술로 완치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병기에 따라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소세포폐암은 비소세포폐암과는 달리 진행속도가 빠르고, 전신으로의 전이가 쉬워 대부분 수술이 불가능하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을 시행합니다.
본 내용은 (주)에임메드에서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글이며, 저작권을 침해하는 무단복제, 게재를 금합니다.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진단 테스트! 고령화의 그늘 치매, 예방에 달렸다! (0) | 2013.08.10 |
---|---|
전국을 공포로 몰아넣은 살인진드기! 그 정체와 예방법. (0) | 2013.05.28 |
내 아이 시력, 사라진 1.0을 찾아라! (0) | 2012.12.28 |
편식하는 우리 아이, 어떻게 할까? (0) | 2012.12.17 |
가을철 심해지는 기침, 혹시 이것? (0) | 201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