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Unsplash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남자들도 어려운 야구용어 정리! 네 번째 시간인데요. 오늘은 지난번에 예고해드렸다시피 투수의 성적을 나타내는 용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용어들이 있는지 지금 바로 소개해 드릴게요.
▶ 첫 번째 편 보러 가기 http://kbistory.tistory.com/1402
▶ 두 번째 편 보러 가기 http://kbistory.tistory.com/1421
▶ 세 번째 편 보러 가기 http://kbistory.tistory.com/1443
야구용어 정리 1. 방어율 (Earned Run Average, ERA)
방어율은 투수의 역량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방어율은 프로야구의 한 경기를 기준으로 하는 9이닝 당 투수가 내준 점수를 의미합니다. 즉, 방어율이 낮을수록 투수가 9이닝을 기준으로 내준 점수가 낮은 것을 의미하게 때문에 좋은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skeeze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계산을 하는 방식은 투수가 내준 점수(자책점)에 9를 곱하고 던진 이닝 수로 나눠주면 됩니다. 프로야구에서 선발투수의 기본 요건이라고 하는 6이닝 3실점(자책점)을 퀄리티 스타트(Quality Start, QS)라고 하는데 6이닝 3실점을 방어율로 환산해보면 (3*9)/6=4.50 의 방어율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9이닝을 기준으로 4.50의 실점을 의미하게 됩니다.
야구용어 정리 2. WHIP (Walks Plus Hits Divided by Innings Pitched)
WHIP는 과거 국내에서는 측정하지 않았던 기록인데 최근에는 투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표입니다. 영문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이닝 당 안타와 볼넷 개수를 의미합니다. 투수는 주자가 출루하는 것을 줄여야 실점 확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WHIP가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기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단, 몸에 맞는 공은 본 기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미지 출처: www.flickr.com (저작권자: lovehannahan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실점과 상관없이 6이닝 동안 투수가 안타 5개와 볼넷 2개를 내 주었다면 총 출루 7을 이닝수인 6으로 나눠주면 1.16의 WHIP가 나오게 됩니다. 1.00 이하의 WHIP는 대단히 좋은 기록으로 리그를 대표할 수 있는 투수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야구용어 정리 3. 피안타율
투수의 피안타율은 타자의 타율의 반대 의미입니다. WHIP와 마찬가지로 실점 여부와는 상관없는 지표이지만 피안타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실점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낮을수록 좋은 투수의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www.flickr.com (저작권자: pauldineen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야구용어 정리 4. 자책점과 비자책점(Earned Run / Non Earned Run)
투수의 자책점과 비자책점은 방어율을 계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즉, 실점을 하더라도 그 실점이 자책점인지 비자책점인지에 따라서 계산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비자책점은 쉽게 설명하면 투수 본인의 책임이 아닌 실점을 의미합니다.
[영상은 1회 2실점한 유먼 영상]
예를 들어 투수가 2아웃 상황에서 유격수가 실책을 하여 주자를 내보내고 다음타자에게 홈런을 맞아 2실점을 했다면 투수의 자책점은 어떻게 될까요? 이 상황에서 투수의 자책점은 0입니다. 실책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홈런은 투수가 맞았는데 왜 자책점은 0이 되는 것일까요?
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tshide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2아웃에서 실책이 나온 경우 원래는 이닝이 종료되었어야 하는 상황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후의 실점은 투수가 책임이 있더라도 애초에 종료되었어야 하기 때문에 모두 비자책점으로 기록하게 되는 것입니다. 2012년 국내 프로야구 경기에서는 모 투수가 8실점을 했지만 자책점은 1실점으로 기록되었던 경기도 있었는데, 한 이닝에 수비이닝 중간 실책이 2개가 나오면서 한이닝의 6실점이 모두 비자책점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야구는 매우 다양한 상황이 있고 그에 따라 기록이 달라집니다. 때로는 기록원의 주관적 판단으로 되는 상황도 발생하기 때문에
야구에 대한 용어나 규칙을 잘 알고 있으면 더욱 흥미로운 스포츠가 될 수 있을 겁니다.
'라이프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글라스 렌즈] 환경에 따른 선글라스 선택, 선글라스 렌즈 종류 및 기능 (0) | 2015.07.30 |
---|---|
[선글라스] 선글라스 역사와 기능 (선글라스 고르는법) (0) | 2015.07.24 |
[자격증 추천] 대학생들을 위한 팁! 대학생 자격증 추천! (0) | 2015.07.10 |
[야구 용어 정리] 남자들도 어려운 야구용어 정리, 시즌3! 타자의 성적을 나타내는 용어 (0) | 2015.07.09 |
[야구 용어 정리] 남자들도 어려운 야구용어 정리, 시즌2! (3) | 201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