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에서는 차량번호만으로 과거 자동차 사고의 이력정보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보험 차량번호 이력별 사고 조회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험개발원의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에서 이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그 이용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기존에는 사고 후 차량번호를 변경하면 과거 사고이력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고차 구입자에게는 신뢰를 받지 못하였고, 보험사 역시 동일 차량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이를 악용해 사기성 청구가 빈번하게 발생했죠.
현재는 차량번호 변경 이력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차량번호 변경을 악용한 보험청구도 예방하고, 중고차 구입자에게도 더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단, 96년 이후의 사고 자료 등을 기초로 제공되며, 보험사고처리가 되지 않은 사항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다만, 유료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공익 제고 차원에서 사고 정보를 이용하고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최소한의 실비만을 이용자가 부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년간 5회 미만 조회를 할 경우에는 건당 1,000원, 5회를 초과하여 조회를 할 경우에는 건당 3,000원의 이용료를 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얼마 전 저희 어머니가 중고로 구입하신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조회하기 위해 부가세를 포함해서 1,100원을 결제했습니다. 회원가입 없이도 본인인증을 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차량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조회되기 때문에 정말 간편했습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조회하실 차량번호를 정확히 입력하셔야 합니다. 실수로 번호를 잘못입력해서 재조회하는 경우에는 다시 결제를 해야합니다.
차량을 조회해보니, 자동차 일반사양, 용도변경이력, 자동차번호/소유자 변경횟수, 특수 사고이력(전손,도난,침수), 보험사고이력(내 차 피해, 타차 피해)의 다양한 내용이 조회가 됩니다. 가장 상단에는 요약된 정보가 보여서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2003년식의 10년 이상이 된 자동차라서 그런지, 소유자 변경이력이 4번이나 됩니다. 이를 통해 중고차로 지속적으로 판매된 차량으로 추측을 할 수 있었고요. 차량번호변경은 차량번호 제도가 바뀌면서 번호를 바꾼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 외에는 전손, 도난, 침수 등의 큰 사고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네요.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상당히 오래된 자동차 임에도, 보험 처리된 금액으로 봐서는 경미한 사고만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중고차를 구입할 때는 당연히 무사고차고 차량을 찾는 고객이 많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사고이력은 있지만 이렇게 금액을 통해 경미한 보험사고 차량이란 것을 확인하면 무사고 차량이 아니더라도, 좋은 자동차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카히스토리(http://www.carhistory.or.kr/) 화면 캡쳐
해당 서비스는 조회 후, 24시간이내에 재조회, 출력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인쇄 서비스를 통해 출력을 하시거나, 인쇄 화면의 프린트를 선택에서 PDF 파일로 인쇄를 하시면 PDF파일로 컴퓨터 내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하면, 계속 보존이 되고 확인할 수 있겠죠?
이미지 출처: http://pixabay.com (저작권자: neverdayxy ,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유의하셔야 할 점은, 정보원천기관의 사정에 따라 사고 내용이 변경되거나 지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 데이터의 오류나 처리 과정 착오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사고가 있었다 하더라도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차량으로 자동차 보험을 통해 수리비용을 청구하지 않은 경우나, 자비로 수리를 한 경우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조회 내용이 없다고 하여 무사고 차량인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중고차를 구입할 때에는 사고이력정보 조회는 단순 보조 정보로써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입하시고자 하는 중고차량의 상태는 차주에게 직접 문의하거나, 실차 점검, 중고차 성능 상태 점검 기록부 등을 통해 최종 확인 하는 것이 중고차 구입의 현명한 자세입니다.
'라이프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정호 활약상] KBO 최고 유격수 강정호, 메이저리그 정복기 (0) | 2015.05.13 |
---|---|
[강남역 맛집] 매드포갈릭 Mad for Garlic 강남역 맛집으로 추천! (0) | 2015.05.12 |
휴대전화 요금할인 20% VS 지원금, 어떤 게 더 유리할까? (휴대폰 요금할인 20%) (2) | 2015.05.04 |
[커피 리필] 커피 프랜차이즈, 커피 리필 되는 곳 (탐앤탐스 / 할리스 / 커핀그루나루 등) (1) | 2015.04.30 |
[해외직구 / 해외직구방법] 해외직구의 첫걸음, 개인통관고유번호 만들어 개인정보 보호하자! (2) | 2015.04.20 |